- i 전시관
- 글
설야(雪夜) / 박용래
[원시인의 시로 여는 세상]
기사입력 2023-01-14 오전 10:48:15

설야(雪夜)
박용래
눈보라가 휘돌아간 밤
얼룩진 벽에
한참이나
맷돌 가는 소리
고산 식물처럼
늙으신 어머니가 돌리시던
오리오리
맷돌 가는 소리
---------------------------------------------------------------------------------
원시인님, 오늘은 1950~1960년대 주로 활동했던 박용래 시인의 설야(雪夜)라는 시를 살펴볼까합니다. 이제 며칠 있지 않으면 설날이 다가옵니다. 우리의 고유한 명절 설날은 새해맞이의 기쁨과 가족 간의 두터운 정을 확인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우리네 시골 어머니들은 이 추운 겨울에도 밤이 되면 멀리 있다 돌아올 가족을 위해 맷돌을 돌려 두부를 만드시곤 했습니다.
이 시에는 잊을 수 없는 우리의 고향과 눈 내리는 겨울밤의 서정과 자식을 기다리는 어머니의 애틋한 마음이 잘 녹아 있습니다. 이 시의 시적 배경은 아주 간단합니다. 지금 밖에는 눈보라가 휘몰아치고 방안엔 희미한 등잔불 아래 맷돌을 돌리는 어머니가 있습니다. 시인은 어렸을 때 그 맷돌 돌리시는 어머니의 영상이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었나 봅니다. 이 간단한 시적 배경이 아름다운 한 편의 시가 된 것은 ‘얼룩진 벽’이나 ‘고산 식물처럼 늙으신 어머니’나 ‘오리오리’라는 시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냥 늙으신 어머니가 아니라 ‘고산 식물처럼’이라는 시어를 씀으로써 고단함과 외로움을 느끼게 하고, ‘얼룩진 벽’을 통해 그 맷돌 돌리시는 어머니의 얼룩얼룩한 모습이 나타났다 사리지기도 합니다. 특히 마지막 3행 ‘늙으신 어머니가 돌리시던/오리오리/맷돌 가는 소리’에서 ‘오리오리’라는 시어는 매우 함축적인 의미잉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맷돌 돌아가는 소리의 청각적 울림에서 그치지 않고, 그 맷돌 소리가 오리(五里)까지도 이어져 가는 공간성을 확보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오리오리’는 이러한 의미 함축보다 ‘오리, 오리’ 즉 ‘올 것이리, 올 것이리’라는 자식에 대한 그리움과 믿음의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습니다.
비록 8행밖에 되지 않는 짧은 시이지만 자식에 대한 사랑과 기다림 그리고 어머니의 적막하고 외로운 삶이 떠오릅니다. 읽고 있으면 아득하고 눈물겹습니다.(*)

경산인터넷뉴스(ksinews@hanmail.net)
댓글4
Brooks VzLlbRPQoQH 6 17 2022 <a href=http://viagr.art>viagra online pharmacy</a> Yes I cracked
dunno, is frigging anti e screwing up my gains <a href=http://asildenafil.mom>does viagra work</a>
<a href=https://vardenafila.skin>video levitra 20</a> Be careful and be sure to specify the information on the section Pharmacokinetic properties in the instructions to the drug Tamec directly from the package or from the pharmacist at the pharmacy
Blood Press 2009 18 192 5 <a href=http://dapoxetine.buzz>cheapest priligy uk</a> Morozova TM, et al